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Why: 속독을 익힐 필요가 있어서 읽게 되었다.

Before: 책을 빠르게 읽어 내가 정독을 할 필요가 있는 책인지 판단하는 방법이 적힌 책

After: 서점이나 도서관에서 책을 고를 때 나에게 도움이 되는 책인지 판단하는 힘을 길러줄 듯하다

 

what: 퀀텀 독서법이라고 하지만 2000년대에 유행 했던 속독이다.

책을 읽을 때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소리내어 음절하나씩 읽을 필요없지만

독서를 처음 배울 때 소리를 내어 읽었고 어른이 되고 나서도 뇌 속으로 소리를 내어 읽기 때문에 책을 빠르게 읽을수 없는 것이다.

재있미고 신하기네….
캠릿브지대학의 연결구과에 따르면 한 단어 안에서 글자가 어떤 순서로
배되열어 있는가 하것는은 중하요지 않고,
첫째번와 마지막 글자가 올바른 위치에 있것는이 중하요다고 한다.
나머지 글들자은 완전히 엉진망창의 순서로 되어 있지을라도 
당신은 아무 문없제이 이것을 읽을 수 있다.
왜하냐면 인간의 두뇌는 모든 글자를 하나하나 읽것는이 아니라 단어 하나를 전체로 인하식기 때이문다….

이제 다 읽으셨습니까?
다시 한 번 윗 글을 한 글자 한 글자 또박또박 읽어보세요.
순간 깜짝 놀랄 일이 생길 것입니다.

 

위 문장은 자세히보면 뒤죽박죽이지만 잘 읽을 수 있는 것 처럼 연습만 한다면 3~5줄 씩 한번에 읽을 수 있다는 것이 책의 주장이다.

 

방법론

책을 빠르게 훑으면서 읽어보기(이해되지 않더라도 그냥 보기)

책을 45°, 90° 돌려서 읽어보기

아래에서 위로 읽어보기

 

결론

퀀텀 독서는 이 책을 정독할 필요가 있는지 빠르게 판단하기 위해 단어을 위주로 보는 것이다. (읽는 것이 아닌)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기생수: 더 그레이

이와아키 히토시의 만화 "기생수"가 원작인 한국 배경의 스핀오프작이다.

 

배우들의 연기

전체적으로 배우의 연기는 훌륭했습니다. 이미 많이 이름이 알려진 배우들 이였으니까요. 하지만 이정현 배우의 연기는 오글거렸고 전소니 배우가 연기한 기생수 내면의 목소리는 다소 이질감이 느껴졌습니다. 원작인 일본 영화에서의 기생수는 가벼운 톤 이였지만 전소니 배우의 기생수 목소리는 차분한 저음의 한국어가 서툰 모습이여서 그럴지도 모르겠습니다. 항상 후속작은 전작과 비교되니까요. 

 

줄거리 개요

우주에서 온 정체불명의 기생생물들이 인간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며 한국에서 벌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을 다룹니다. 주요 줄거리는 기생생물과 공생하게 된 정수인(전소니 분)과 그의 여동생을 찾기 위해 기생수와 싸우는 조폭 설강우(구교환), 기생수 전담 경찰 팀 '더 그레이'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펼쳐집니다.

 

추천하는가?

스핀오프 후속편은 원작을 본 사람이라면 굳이 후속작을 볼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한국판 '기생수'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일본판 '기생수'를 이미 경험했다면, 특별히 시간을 내어 볼 정도로 인상적이지는 않았습니다.
연상호 감독님께서 '방법' 시즌 2를 제작해 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아무리 읽어도 쓰지 않으면 머리에 남지 않는다.

이 책에서 서술한 독서 후 내용을 정리하고 요약하고 기록하는 법

1단계

Why: 왜 이 책을 읽는지 다섯줄로 대답하기

How: 어떻게 이 책을 읽어야 하는지 개인적인 의견을 다섯 줄로 기록하기

Before: 이 책을 읽기 전, 이 책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다섯 줄로 기록하기

After: 이 책을 읽은 뒤, 내가 어떻게 변할지 예측해서 다섯 줄로 기록하기

Knowledge: 이 책에 대한 내 지식과 경험을 다섯 줄로 기록하기

 

2단계

what: 이 책의 내용은 무엇인가?

애 책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은 무엇이고, 어디에 있는가?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요약하기

책 내용을 약 3분간 설명해보기

 

3단계

주제가 같은 책 중 시대가 비슷하면서 지역이 다른 책, 상반된 주장을 하는 책을 기준으로 판단의 토대 삼기

찬성하는 부분과 반대하는 부분의 핵심 내용을 3~5개 적기

찬성하는 이유와 반대하는 이유 초서하기

 

4단계

초서 훈련을 위한 다섯 가지 가이드

  • 이 책만의 독창성을 알 수 있는 다섯 문장 초서하기
  • 이 책의 핵심 내용을 잘 알 수 있는 다섯 문장 초서하기
  • 이 책에서 가장 중요한 한 문장 초서하기
  • 작가의 주장이 잘 드러난 다섯 문장 초서하기
  • 이 책에서 꼭 기억해야 할 문장 초서하기

 

한 권의 책을 한 문장으로 압축하여 초서하기

  • 이 책의 핵심 내용을 다섯 문장으로 압축하여 초서하기
  • 이 다섯 문장을 다시 세 문장으로 압축하여 초서하기
  • 이 세문장을 다시 한 문장으로 압축하여 초서하기

 

5단계

의식 단계에 맞는 질문에 답하기

  • 이 책을 읽고 나서 달라진 의식 기록하기
  • 이 책과 작가로 인해 자신의 삶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 의식의 변화와 확장 기록하기
  • 인생과 미래로 의식을 확장시켜보기
  • 나라, 민족, 인류, 우주로 의식을 확장시켜보기
  • 개인, 민족, 인류에 대한 이 책의 의의 기록하기

One Book One Sentence 작성하기

1 + 1 Book Choice 선택하기 - 이 책과 관련한 책 2개 선택하기

 

독후감

단순히 반복해서 읽는 것만으로는 학습에 큰 도움이 되지 않음을 고등학생 시절부터 직감적으로 알고있었습니다.

교과서를 여러 번 읽어도 정보가 머릿속에 남지 않았기에, 이론을 익히기 전, 문제를 풀어보는 방식을 선호했습니다.

당연히 새로운 개념에 대한 지식이 없었기에 문제는 풀리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문제를 먼저 시도하고 난 후 이론을 배우면, 내용이 더 빠르게 이해되고 기억에 오래 남는 것을 경험했습니다. 이것은 단순한 기분 탓이 아니었습니다. 문제를 먼저 접함으로써 이후에 교과서를 읽을 때, 뇌가 먼저 접했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작동하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우리는 종종 편안함과 익숙함을 추구합니다.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평균 33세가 되면 새로운 음악을 탐색하고 받아들이는 데에 대한 열정이 시들어간다고 합니다. 인생이 백년 시대로 접어들면서, 이는 우리가 약 67년 동안 새로운 음악을 경험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해외의 유명한 음악 스트리밍 사이트 스포티파이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러한 경향을 발견했습니다. 그는 사람들이 나이가 들면서 낯선 음악보다는 젊은 시절 즐겨 듣던 음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현상은 단순히 음악 취향의 변화라기보다는 우리 뇌의 작동 방식과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우리의 뇌는 보수적이며, 새로운 경험보다는 익숙한 것을 선호합니다. 이는 우리가 새로운 음악을 접하는 데 있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른바 '피질원심성 망'은 우리가 새로운 패턴을 배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동시에 우리의 경험을 제한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새로운 음악을 어렵게 느끼는 이유 중 하나는, 우리 뇌가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선호하기 때문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