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최근 한 대기업의 임원이 AI가 만든 가짜 증거로 인해 억울하게 성희롱 가해자로 지목된 사건이 있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성희롱과 폭언을 당했다는 여직원의 신고와 증거로 제출된 통화 녹음 파일. 그러나 이 파일은 AI를 이용해 허위로 만들어진 것이었고, 다행히도 이 사건의 진상은 밝혀졌습니다. 하지만 이런 일이 우리 주위에서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은 우리를 경악하게 합니다. 기술의 발전은 얼마나 놀라운 혜택을 가져다줄 수 있는지 보여주는 동시에, 잘못 사용될 경우 얼마나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지도 경고하고 있습니다.

 

AI의 배신 - 우리가 편리함을 대가로 내준 것들

AI는 우리가 일상 생활을 더 편리하고 쉽게 만들기 위해 발전해 왔습니다. 하지만 요즘 AI는 우리를 도와주는 조력자 이상의 존재가 되고 있습니다. 때로는 우리의 신뢰를 무너뜨리고, 우리의 프라이버시를 훔치며, 거짓을 진짜처럼 만들어 우리를 속이기도 합니다.

 

서울, 인천, 부산 등 여러 지역의 지방 의원들이 자신들의 얼굴이 음란물에 합성되어 협박을 받는 사건도 있었습니다. 이는 공개된 사진을 악용하여 허위 콘텐츠를 생성하고 금전을 요구하는 새로운 유형의 협박이었으며,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AI의 '배신'이라 불릴 만합니다. AI는 디지털상의 '나'를 도둑질할 수 있을 만큼 위협적인 존재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또한, 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이 AI를 이용해 과제를 제출하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교수들은 과제물에서 AI가 작성한 부분을 찾아내기 위해 또 다른 AI를 사용하기까지 합니다. 점점 더 교묘해지고 진짜처럼 보이는 AI의 등장으로, 사람들은 이제 "누가 이 글을 썼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진위를 확인해야 하는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기술의 진화 속, 우리에게 필요한 윤리적 기준

기술은 분명 많은 이점을 제공해줍니다. 취업 준비생들이 자기소개서를 AI로 작성하고, 면접 준비까지도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기업들은 이제 AI 프로그램을 사용한 결과물을 인재의 진정한 능력으로 혼동하지 않기 위해 면접 과제를 당일에 즉석에서 공개하는 등의 대책을 세우고 있습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AI의 도움을 받는 것이 일상화되었지만, 결국 진짜 중요한 것은 '진정한 능력'과 '인간다움'입니다.

 

현대해상과 같은 기업들은 AI를 범죄의 거름망으로 사용해, 매년 수십만 건의 보험 사기 사건을 AI로 분석하고 사기 위험도를 자동으로 평가하는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그만큼 이를 악용하는 사례도 늘어나지만, 반대로 기술을 활용해 이를 방어하고 사회적 안전망을 구축하는 모습도 볼 수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 그리고 우리에게 주어진 선택

결국 우리는 AI와 같은 첨단 기술이 가져오는 편리함과 위험 사이에서 균형을 잡아야 합니다. AI가 사람처럼 생각하고 판단할 수 있는 날이 올지도 모르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가 인간으로서 가져야 할 윤리적 기준을 잊지 않는 것입니다. AI는 우리의 생활을 혁신적으로 바꿀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그만큼 우리가 책임 있는 사용자가 되어야 합니다.

 

기술의 진화는 막을 수 없는 흐름입니다. 그러나 그 속에서 인간다움과 윤리를 지키려는 노력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우리 모두가 기술의 발전을 즐기면서도 그에 따른 윤리적 책임을 인지하고, 신중히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술은 결국 우리의 도구입니다. 도구를 어떻게 사용할지는 우리의 몫입니다. AI라는 강력한 도구를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사용할 것인지, 그에 따라 우리 사회가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지를 고민해야 할 때입니다. 기술의 발전을 마냥 환영하기보다는, 그 속에서 우리가 진정 지켜야 할 가치는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오늘 추천하고 싶은 노래는 '이준호'의 '어차피 잊을 거면서 Bye Bye (Feat. CHEEZE)'입니다. 이 곡은 잔잔한 멜로디에 감성적인 가사가 더해져 가을 날씨와 잘 어울리는 곡이에요.

 

이준호 특유의 부드러운 랩과 CHEEZE의 달콤한 보컬이 조화를 이루어 편안하면서도 가을의 쓸쓸함을 느끼게 해줍니다.

 

순식간에 지나가버린 가을이 그립다면 이 노래를 한 번 들어보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언젠가부터 시간을 허투로 쓴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하루를 마치고 침대에 누웠을 때 오늘은 뭐했지를 생각하면

오늘도 시간을 쓰지 않고 보내기만 했구나 라는 생각이 들 때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시작한 시간 계획을 소개하려 합니다.

하루를 아침, 점심, 저녁으로 3시간을 정하고 각 블록에서 최대한 집중하여 업무와 공부를 진행합니다.

아침에는 가벼운 활동으로 시작해 동기부여를 얻고,

오후와 저녁에는 집중력 높은 활동을 배치합니다.

 

각 블럭을 지키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나의 블럭만 지키면 오늘 하루는 알찼다라고 생각하시고

계획대로 완성한 블럭을 살아가면서 늘려가면 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최근 듀얼 모니터를 맞추게 되면서 'PPI(Pixels Per Inch)'라는 개념을 배웠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PPI가 무엇인지, 주요 모니터 인치별 해상도에 따른 PPI 비교, 그리고 개인적으로 모니터를 선택한 기준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PPI(Pixels Per Inch)란?

PPI는 “1인치(2.54cm) 안에 얼마나 많은 픽셀이 들어가 있는가”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쉽게 말해, PPI가 높을수록 픽셀 밀도가 높아져 화면이 더 선명하게 보입니다. 모니터나 디스플레이를 구매할 때 PPI는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같은 해상도라도 화면의 크기에 따라 PPI가 달라지기 때문이죠. PPI가 다르면 마우스를 이동할 때 마다 마우스가 커지고 작아지며 속도도 달라져 사용경험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주요 인치와 해상도의 PPI 비교

아래는 흔히 사용되는 모니터 크기와 해상도에 따른 PPI를 비교한 표입니다

21.5인치 FHD (1920x1080) 102
24인치 FHD (1920x1080) 92
27인치 FHD (1920x1080) 81
27인치 QHD (2560x1440) 108
32인치 FHD (1920x1080) 69
32인치 QHD (2560x1440) 93
32인치 4K (3840x2160) 138
34인치 UWQHD (3440x1440) 110
48인치 4K (3840x2160) 92
49인치 UWQHD (5120x1440) 108
55인치 4K (3840x2160) 80

위 표를 보면 다양한 크기와 해상도에 따라 PPI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 수 있습니다. 특히 24인치 FHD, 32인치 QHD, 48인치 4K 모니터의 PPI가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저 역시 듀얼 모니터를 구성할 때, PPI가 유사한 24인치 FHD와 32인치 QHD를 선택했습니다.

 

모니터 선정 기준: 무엇을 고려해야 할까?

모니터를 선택할 때 PPI 외에도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소들이 있습니다.

  1. 패널 종류 (IPS, VA, TN)
    • IPS 패널은 색 표현이 정확하고 시야각이 넓어서 그래픽 디자인, 사진 편집, 영상 감상에 적합해요. 색 재현력이 좋기 때문에 많은 전문가들이 선호하는 패널입니다.
    • VA 패널은 명암비가 높아서 검은색 표현이 뛰어나고, 색 대비가 선명합니다. 영화 감상이나 일반적인 사무용으로 좋지만, 반응 속도가 조금 느릴 수 있어요. 특히 VA 패널은 어두운 장면을 잘 표현할 수 있어 영화나 드라마 감상용으로 추천드려요.
    • TN 패널은 반응 속도가 가장 빠르기 때문에 게임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색 표현과 시야각 면에서 약간의 단점이 있어요. 가격이 저렴한 편이라 예산을 고려할 때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2. 주사율 (Refresh Rate)
    • 주사율은 화면이 초당 몇 번 업데이트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예요. 일반적으로 60Hz가 표준이지만, 게이밍 용도로는 120Hz, 144Hz 이상의 고주사율 모니터가 필요할 수 있어요. 주사율이 높을수록 화면 움직임이 부드럽게 느껴지기 때문에 게임 플레이나 빠르게 움직이는 콘텐츠에 유리합니다.
  3. 틸트 및 피벗 기능
    • 저처럼 작은 모니터는 세로로 틸팅해서 사용하고, 큰 모니터는 가로로 두고 쓰고 싶다면, 모니터 스탠드가 틸트와 피벗 기능을 지원하는지 꼭 확인하세요. 세로 모니터는 긴 문서 작업이나 코딩할 때 정말 유용하더라고요.
  4. 포트 및 연결성
    • HDMI, DisplayPort, USB-C 등 모니터에 연결 가능한 포트 종류와 개수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듀얼 모니터 구성 시 PC나 노트북과의 연결 방식이 다르면 추가 어댑터가 필요할 수 있으니 미리 확인해두는 게 좋아요.

 

마무리하며

모니터를 선택할 때 PPI는 화면의 선명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저는 24인치 FHD와 32인치 QHD 모니터를 PPI를 맞춰 선택해 일관된 시각적 경험을 받았으면 했어요. 이 외에도 모니터의 패널 종류, 주사율, 틸트 기능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모니터를 선택해보세요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