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1. 여과식

여과식 방법은 가장 흔히 사용되는 커피 내리기 방법 중 하나로, 뜨거운 물을 커피 가루에 부어서 추출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커피의 섬세한 맛과 향을 잘 살릴 수 있어 많은 사랑을 받습니다.

 

대표적으로는 핸드드립 커피가 있습니다.

핸드드립 커피는 집에서 즐길 수 있는 커피 중 하나로, 섬세한 맛과 향을 즐기고자 하는 커피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핸드드립 커피를 내리는 과정은 다소 세심한 주의를 요하지만, 그만큼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핸드드립 커피를 내리는 기본 순서입니다

 

준비물
- 원두
- 커피 그라인더

- 뜨거운 물 (약 90~96도 정도)

- 드립퍼
- 여과지

- 서버 (커피를 담을 용기)
- 저울 (선택사항)

 

커피 그라인딩
- 원두를 드립 커피에 적합한 중간 정도의 입자 크기로 분쇄합니다. 너무 고운 가루는 커피가 쓰게 만들 수 있으며, 너무 굵은 가루는 싱겁게 만들 수 있습니다.

 

여과지 준비
- 드립퍼에 맞는 여과지를 끼우고, 뜨거운 물로 여과지를 적셔줍니다. 이 과정은 여과지의 종이 맛을 없애고 드립퍼와 서버를 예열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열된 서버는 추출된 커피를 따뜻하게 유지시켜줍니다. 서버를 가볍게 돌려 서버로 내려온 물로 서버를 데운 후 버려줍니다.

 

커피 가루 넣기
- 여과지에 커피 가루를 넣습니다. 일반적으로 커피 한 잔(약 240ml)을 만들기 위해서는 커피 가루 15~20g이 적당합니다.

 

물 붓기
- 먼저 커피 가루 전체가 축축해질 정도로 적은 양의 물을 부어 블루밍(Blooming) 과정을 진행합니다. 이때, 커피 가루에서 나오는 가스가 빠져나가게 되며(이 현상을 "커피빵"이라 부릅니다.), 약 30초 정도 기다립니다.
- 이후, 나선형으로 물을 천천히 부어주면서 커피를 추출합니다. 커피 가루 위에서 물이 고르게 분포되도록 주의해주세요. 전체 추출 시간은 약 2~3분 정도가 이상적입니다.

 

서버에 담기
- 모든 물이 여과되어 서버에 커피가 모이면, 핸드드립 커피가 완성됩니다. 커피의 양은 사용한 원두와 물의 양에 따라 달라집니다.


핸드드립 커피를 내리는 과정은 시간과 노력이 들지만, 그만큼 커피의 진한 향과 맛을 느낄 수 있는 가장 보람찬 방법 중 하나입니다. 직접 내린 커피 한 잔으로 여유로운 시간을 가져보세요.

 

2. 침출식

침출식 방법은 커피 가루를 물에 장시간 담가두어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매우 부드럽고, 산미가 적은 커피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합니다.

 

콜드브루 커피가 침출식 커피에 해당합니다.

콜드브루 커피는 차갑게 우려내 커피 본연의 맛과 향을 즐길 수 있게 해주는 방법으로, 부드럽고 산미가 적어 많은 사람들이 선호합니다. 콜드브루를 집에서 만드는 과정은 간단하며, 시원하고 상쾌한 커피를 즐길 수 있습니다. 다음은 콜드브루 커피를 만드는 단계별 방법입니다

 

준비물
- 원두
- 커피 그라인더

- 물
- 여과지
- 큰 유리병 또는 피처
- 저울 (선택사항)

 

커피 그라인딩
- 콜드브루 커피를 위해서는 원두를 굵게 분쇄하는 것이 좋습니다. 굵은 입자 크기는 물과 오랫동안 접촉하면서 천천히 우러나오는 데 적합합니다.

 

원두와 물 섞기
- 분쇄한 커피를 유리병 또는 피처에 넣습니다. 커피와 물의 비율은 일반적으로 1:8에서 1:15 사이가 좋습니다. 예를 들어, 100g의 커피에 대해서는 800ml에서 1500ml의 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취향에 맞게 조절하세요.
- 정수된 물을 커피 가루에 부어줍니다.

 

우려내기
- 커피와 물이 잘 섞이도록 병이나 피처를 가볍게 흔들어 줍니다.
- 뚜껑을 닫거나 플라스틱 랩으로 유리병을 덮고, 상온에서 12시간에서 24시간 동안 우려냅니다. 방의 온도에 따라 우려내는 시간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더운 여름에는 짧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여과하기
- 우려낸 커피를 천 필터나 종이 필터를 사용하여 다른 용기로 걸러냅니다. 이 과정을 통해 커피 가루와 커피 액체를 분리합니다.
- 필터링 과정이 끝나면, 콜드브루 커피가 완성됩니다. 이제 커피를 밀폐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할 수 있습니다.

 

- 콜드브루 커피는 차갑게 서빙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얼음을 넣어 커피를 즐기세요. 원한다면 우유나 시럽을 추가하여 다양한 맛의 커피를 만들어 볼 수도 있습니다.

콜드브루 커피는 만들기 쉽고 저장도 간편해 더운 여름날 뿐만 아니라 일년 내내 즐길 수 있는 커피입니다. 집에서 직접 만든 콜드브루 커피로 이제 곧 다가올 여름을 시원하고 상쾌하게 만끽해 보세요.

 

3. 가열식

가열식 방법은 커피가 담긴 물을 가열하여 직접적으로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강한 맛과 향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적합합니다.

 

가장 전통적이고 원시적인 가열식 커피 내리기 방법으로 튀르크 커피가 있습니다. 이 방법은 에스프레소를 비롯한 현대 커피 추출 방법들의 기초가 되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드립 커피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현대 커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아래 방법은 간단한 도구와 절차를 통해 강렬하면서도 풍부한 향의 커피를 만들어냅니다.

 

준비물

- 원두
- 물
- 제즈베(cezve) 또는 작은 냄비
- 설탕 (선택 사항, 선호에 따라)

 

커피 원두 준비하기
- 커피 원두를 매우 고운 분말로 분쇄합니다. 튀르크 커피는 일반적으로 매우 섬세한 분말 상태의 커피를 사용합니다.

제즈베(또는 작은 냄비)에 물 붓기
- 세즈베에 컵 하나 분량의 물을 붓습니다. 튀르크 커피는 보통 한 번에 한두 잔 분량을 만들기 때문에, 필요한 만큼의 물을 조절하세요.

 

설탕 추가하기 (선택 사항)
- 커피를 달게 마시고 싶다면, 이 단계에서 설탕을 추가하세요. 설탕의 양은 개인의 취향에 따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커피 분말 추가하기
- 물이 세즈베에 들어간 후, 필요한 만큼의 커피 분말을 추가합니다. 일반적으로 한 컵에 대해 1~2 스푼의 커피 분말을 사용합니다.

 

가열하기
- 세즈베를 낮은 온도에서 가열하기 시작합니다. 커피가 천천히 가열되면서 풍부한 맛과 향이 우러나옵니다.
- 커피가 끓기 시작하면, 표면에 거품이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거품이 커지고 세즈베의 가장자리까지 올라오기 시작하면, 세즈베를 불에서 잠시 내려서 거품이 가라앉게 합니다. 이 과정을 2~3번 반복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튀르크 커피는 진하고, 풍부한 향을 지니며, 커피 애호가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시도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 방법입니다.

728x90
반응형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옵시디언: 새롭게 떠오르는 메모 앱  (0) 2024.04.12
거짓말  (0) 2024.04.05
고급스러운 타자 연습 사이트  (0) 2024.03.26
obs 마이크 세팅  (0) 2024.03.19
한글 키보드 두벌식을 버리고 세벌식으로 갈아타자  (0) 2024.03.08
728x90
반응형

우리는 매일 컴퓨터 키보드를 사용해 이메일, 보고서, 소셜 미디어 게시물을 작성합니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타이핑은 시간을 절약하고, 작업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한국인에게 친숙한 한컴 타자 연습과 같은 전통적인 사이트들이 있지만, 오늘 소개할 Typing.works는 시각적으로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가진 타자 연습 사이트를 제시합니다.

 

typing.works

 

첫 방문부터 한컴 타자 연습과는 매력적인 디자인을 느낄수 있습니다. 깔끔하고 현대적인 디자인은 사용자의 시선을 사로잡으며, 타자 연습의 동기부여를 높입니다. 타자 연습 과정 자체도 사용자 친화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모든 연령대의 사용자가 쉽게 접근하고 향상된 타이핑 스킬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타자 연습 사이트를 찾고 있다면, Typing.works를 한번 사용해보세요. Typing.works는 새롭고 즐거운 경험으로 만들어줍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0. 사전작업

VST 플러그인 해당 링크에서 플러그인을 다운받아 C드라이브 - Program Files에 압축 해제를 합니다.

 

1. 잡음제거

obs 마이크 필터 설정에서 VST 2.x 플러인인을 선택합니다.

플러그인 목록에서 reafir_standalone을 선택합니다.

 

Edit Mode를 Precise로, Mode를 Subtract로 바꿔줍니다.

바꿔주면 위 그림처럼 바뀌는데,

Mode 란 오른쪽에 체크박스를 체크하시고, 5초 정도 가만히 있다가 체크를 해제하시면 됩니다.

안정된 상태의 소음을 측정하여 상쇄 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필터 추가에서 소음억제를 선택해 추가해 줍니다.

 

2. 작은소리 압축

VST 2.x 플러인인을 선택, reagate-standalone을 선택합니다.

 

위 그림처럼 세팅해 줍니다.

초록색 바 아래의 dB보다 낮은 소리를 작게 압축해 줍니다.

 

3. 소리 증폭

 

마이크 소리가 작아서 증폭을 넣어 주었습니다. 필요에 따라 수정해주시면 됩니다.

필터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적용됩니다.

따라서 소음억제나 작은소리 압축 필터 후에 증폭 적용돼야 합니다.

 

4. 큰소리 압축

VST 2.x 플러인인을 선택, reacomp-standalone을 선택합니다

 

해당 데시벨을 기준보다 큰 소리들을 압축해줍니다.

편안하게 발성을 합니다. 올라가는 초록색 게이지 끝으로 Threshold 바를 아래로 내려줍니다.

 

 

reacomp-standalone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정확한 정보는 OBS Compressor Filter를 참고해주세요.

 

참고

ReaPlugs VST FX Suite 플러그인 사용법 매뉴얼 (VST Plugins)

OBS Compressor Filter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한국어 키보드 입력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두벌식과 세벌식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벌식과 세벌식의 유래와 차이점을 소개하고 세벌식이 가지는 유리한 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두벌식 키보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한글 자판 배치로 1982년에 제정된 표준 자판입니다. 그 때로부터 30년이 지난 2010년대 중반에 들어서 표준 자판은 표준어와 빈도수가 맞지 않아 피로도가 높은 편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세벌식 키보드

세벌식 키보드는 1949년 공병우 박사가 처음으로 개발한, 초성·중성·종성으로 글자를 나눠서 입력하는 체계로 두벌식의 일부 제약을 극복하고자 고안되었습니다. 세벌식은 한글의 구조적 특성을 더 잘 반영하여 설계되었으며, 타자의 속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세벌식 키보드는 자음과 모음의 위치를 더 과학적으로 배열하여, 타자 시 손가락의 움직임을 최소화합니다.

 

두벌식과 세벌식의 차이

두벌식과 세벌식의 가장 큰 차이는 키 배열과 타이핑 방법에 있습니다. 두벌식은 간단하고 직관적인 배치로 초심자가 배우기 쉽지만, 타이핑 속도가 빨라질수록 손가락의 부담이 커질 수 있습니다. 반면, 세벌식은 보다 복잡한 키 배열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 곡선이 더 가파를 수 있지만, 일단 익숙해지면 타이핑 속도와 효율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세벌식의 장점

1. **속도와 효율성**: 세벌식은 타이핑 속도와 정확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손가락의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더 빠르고 정확한 타이핑이 가능합니다.
2. **피로도 감소**: 반복적인 타이핑 작업에서 손가락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습니다. 세벌식은 손가락이 기본 위치에서 멀리 벗어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장시간 타이핑에도 편안함을 제공합니다.
3. **전문 타이핑에 적합**: 전문적인 문서 작업이나 빠른 속도의 타이핑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세벌식은 그 진가를 발휘합니다.

 

두벌식이 사용자에게 친숙하고 배우기 쉬운 반면, 세벌식은 타이핑 속도와 효율성, 그리고 장기적인 손가락 건강 측면에서 명확한 이점을 제공합니다. 세벌식 키보드를 익히는 것은 처음에는 도전적일 수 있지만, 그 결과는 분명 가치가 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세벌식을 배우고 연습하여,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한국어 타이핑의 세계로 발을 들여놓아 보세요. 당신의 타이핑 경험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